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.
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,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키르기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

덤프버전 :


파일:다른 뜻 아이콘.svg  
은(는) 여기로 연결됩니다.
풋살 대표팀에 대한 내용은 키르기스스탄 풋살 국가대표팀 문서
키르기스스탄 풋살 국가대표팀번 문단을
키르기스스탄 풋살 국가대표팀# 부분을
, {{{#!html }}}에 대한 내용은 문서
#s-번 문단을
#s-번 문단을
# 부분을
# 부분을
, {{{#!html }}}에 대한 내용은 문서
#s-번 문단을
#s-번 문단을
# 부분을
# 부분을
, {{{#!html }}}에 대한 내용은 문서
#s-번 문단을
#s-번 문단을
# 부분을
# 부분을
, {{{#!html }}}에 대한 내용은 문서
#s-번 문단을
#s-번 문단을
# 부분을
# 부분을
, {{{#!html }}}에 대한 내용은 문서
#s-번 문단을
#s-번 문단을
# 부분을
# 부분을
, {{{#!html }}}에 대한 내용은 문서
#s-번 문단을
#s-번 문단을
# 부분을
# 부분을
, {{{#!html }}}에 대한 내용은 문서
#s-번 문단을
#s-번 문단을
# 부분을
# 부분을
, {{{#!html }}}에 대한 내용은 문서
#s-번 문단을
#s-번 문단을
# 부분을
# 부분을
, {{{#!html }}}에 대한 내용은 문서
#s-번 문단을
#s-번 문단을
# 부분을
# 부분을
참고하십시오.

||
[ 펼치기 · 접기 ]
#555555,#ABABAB
||<table align=center><table width=100%><table bgcolor=#fff,#191919><width=25%> [[파일:괌 기.svg|width=50]] ||<width=25%> [[파일:네팔 국기.svg|width=25]] ||<width=25%> [[파일: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.svg|width=50]] ||<width=25%> [[파일:대한민국 국기.svg|width=50]] || ||<rowbgcolor=#f0f0f0,#2d2f34> [[괌 축구 국가대표팀|괌]] || [[네팔 축구 국가대표팀|네팔]] || [[대만 축구 국가대표팀|대만]] || [[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|대한민국]] || || [[파일:동티모르 국기.svg|width=50]] || [[파일:라오스 국기.svg|width=50]] || [[파일:레바논 국기.svg|width=50]] || [[파일:마카오 특별행정구기.svg|width=50]] || ||<rowbgcolor=#f0f0f0,#2d2f34> [[동티모르 축구 국가대표팀|동티모르]] || [[라오스 축구 국가대표팀|라오스]] || [[레바논 축구 국가대표팀|레바논]] || [[마카오 축구 국가대표팀|마카오]] || || [[파일:말레이시아 국기.svg|width=50]] || [[파일:몰디브 국기.svg|width=50]] || [[파일:몽골 국기.svg|width=50]] || [[파일:미얀마 국기.svg|width=50]] || ||<rowbgcolor=#f0f0f0,#2d2f34> [[말레이시아 축구 국가대표팀|말레이시아]] || [[몰디브 축구 국가대표팀|몰디브]] || [[몽골 축구 국가대표팀|몽골]] || [[미얀마 축구 국가대표팀|미얀마]] || || [[파일:바레인 국기.svg|width=50]] || [[파일:방글라데시 국기.svg|width=50]] || [[파일:베트남 국기.svg|width=50]] || [[파일:부탄 국기.svg|width=50]] || ||<rowbgcolor=#f0f0f0,#2d2f34> [[바레인 축구 국가대표팀|바레인]] || [[방글라데시 축구 국가대표팀|방글라데시]] || [[베트남 축구 국가대표팀|베트남]] || [[부탄 축구 국가대표팀|부탄]] || || [[파일:북마리아나 제도 기.svg|width=50]] || [[파일:북한 국기.svg|width=50]] || [[파일:브루나이 국기.svg|width=50]] || [[파일:사우디아라비아 국기.svg|width=50]] || ||<rowbgcolor=#f0f0f0,#2d2f34> [[북마리아나 제도 축구 국가대표팀|북마리아나 제도]] || [[북한 축구 국가대표팀|북한]] || [[브루나이 축구 국가대표팀|브루나이]] || [[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|사우디아라비아]] || || [[파일:스리랑카 국기.svg|width=50]] || [[파일:시리아 국기.svg|width=50]] || [[파일:싱가포르 국기.svg|width=50]] || [[파일:아랍에미리트 국기.svg|width=50]] || ||<rowbgcolor=#f0f0f0,#2d2f34> [[스리랑카 축구 국가대표팀|스리랑카]] || [[시리아 축구 국가대표팀|시리아]] || [[싱가포르 축구 국가대표팀|싱가포르]] || [[아랍에미리트 축구 국가대표팀|아랍에미리트]] || || [[파일:아프가니스탄 국기.svg|width=50]] || [[파일:예멘 국기.svg|width=50]] || [[파일:오만 국기.svg|width=50]] || [[파일:요르단 국기.svg|width=50]] || ||<rowbgcolor=#f0f0f0,#2d2f34> [[아프가니스탄 축구 국가대표팀|아프가니스탄]] || [[예멘 축구 국가대표팀|예멘]] || [[오만 축구 국가대표팀|오만]] || [[요르단 축구 국가대표팀|요르단]] || || [[파일:우즈베키스탄 국기.svg|width=50]] || [[파일:이라크 국기.svg|width=50]] || [[파일:이란 국기.svg|width=50]] || [[파일:인도 국기.svg|width=50]] || ||<rowbgcolor=#f0f0f0,#2d2f34> [[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|우즈베키스탄]] || [[이라크 축구 국가대표팀|이라크]] || [[이란 축구 국가대표팀|이란]] || [[인도 축구 국가대표팀|인도]] || || [[파일:인도네시아 국기.svg|width=50]] || [[파일:일본 국기.svg|width=50]] || [[파일:중국 국기.svg|width=50]] || [[파일:카타르 국기.svg|width=50]] || ||<rowbgcolor=#f0f0f0,#2d2f34> [[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|인도네시아]] || [[일본 축구 국가대표팀|일본]] || [[중국 축구 국가대표팀|중국]] || [[카타르 축구 국가대표팀|카타르]] || || [[파일:캄보디아 국기.svg|width=50]] || [[파일:쿠웨이트 국기.svg|width=50]] || [[파일:키르기스스탄 국기.svg|width=50]] || [[파일:타지키스탄 국기.svg|width=50]] || ||<rowbgcolor=#f0f0f0,#2d2f34> [[캄보디아 축구 국가대표팀|캄보디아]] || [[쿠웨이트 축구 국가대표팀|쿠웨이트]] || [[키르기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|키르기스스탄]] || [[타지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|타지키스탄]] || || [[파일:태국 국기.svg|width=50]] || [[파일:투르크메니스탄 국기.svg|width=50]] || [[파일:파키스탄 국기.svg|width=50]] || [[파일:팔레스타인 국기.svg|width=50]] || ||<rowbgcolor=#f0f0f0,#2d2f34> [[태국 축구 국가대표팀|태국]] || [[투르크메니스탄 축구 국가대표팀|투르크메니스탄]] || [[파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|파키스탄]] || [[팔레스타인 축구 국가대표팀|팔레스타인]] || || [[파일:필리핀 국기.svg|width=50]] || [[파일:호주 국기.svg|width=50]] || [[파일:홍콩 특별행정구기.svg|width=50]] || ||<rowbgcolor=#f0f0f0,#2d2f34> [[필리핀 축구 국가대표팀|필리핀]] || [[호주 축구 국가대표팀|호주]] || [[홍콩 축구 국가대표팀|홍콩]] || ||<-4><bgcolor=#f7f7f7,#191919><color=#191919,#FFFFFF> [[아시아 축구 연맹|[[파일: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.svg|height=14]]]] [[틀:아시아축구연맹 회원국|남자]] · [[틀:아시아축구연맹 회원국(여자)|여자]] · [[틀:아시아축구연맹 회원국(풋살)|풋살]] | [[아프리카 축구 연맹|[[파일: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.svg|height=20]]]] [[틀:아프리카축구연맹 회원국|남자]] · [[틀:아프리카축구연맹 회원국(여자)|여자]] · [[틀:아프리카축구연맹 회원국(풋살)|풋살]][br][[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|[[파일: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로고.svg|height=20]]]] [[틀:북중미카리브축구연맹 회원국|남자]] · [[틀:북중미카리브축구연맹 회원국(여자)|여자]] · [[틀:북중미카리브축구연맹 회원국(풋살)|풋살]]|[[남미 축구 연맹|[[파일:남미 축구 연맹 로고.svg|height=20]]]] [[틀:남미축구연맹 회원국|남자]] · [[틀:남미축구연맹 회원국(여자)|여자]] · [[틀:남미축구연맹 회원국(풋살)|풋살]][br][[오세아니아 축구 연맹|[[파일: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로고.svg|height=20]]]] [[틀:오세아니아축구연맹 회원국|남자]] · [[틀:오세아니아축구연맹 회원국(여자)|여자]] · [[틀:오세아니아축구연맹 회원국(풋살)|풋살]] | [[유럽 축구 연맹|[[파일:유럽 축구 연맹 로고.svg|height=20]]]] [[틀:유럽축구연맹 회원국|남자]] · [[틀:유럽축구연맹 회원국(여자)|여자]] · [[틀:유럽축구연맹 회원국(풋살)|풋살]] || ||<-4><bgcolor=#f7f7f7,#191919> [[틀:세계 축구 주요 리그 및 대표팀/둘러보기 틀|전세계 리그 및 대표팀 보기]] ||


||





파일:키르기스스탄 축구 연합 로고 화이트.png
키르기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
Кыргызстан улуттук футбол курамасы
정식 명칭Кыргызстан улуттук футбол курамасы[1]
Сборная Киргизии по футболу[2]
FIFA 코드KGZ
FIFA 랭킹97위[3]
Elo 랭킹154위[4]
국가 연맹키르기즈 축구 연합 (KFU)
대륙 연맹아시아 축구 연맹 (AFC)
지역 연맹중앙아시아 축구 연맹 (CAFA)
감독파일:슬로바키아 국기.svg 슈테판 타르코비치 (Štefan Tarkovič)
주장발레리 키친 (Valeri Kichin)
최다 출전바딤 하르첸코 (Vadim Kharchenko) - 53경기
최다 득점미를란 무르자에프 (Mirlan Murzaev) - 14골
홈 경기장돌렌 오무르자코프 스타디움 (Dolen Omurzakov Stadium, 23,000석)
별명Ак шумкарлар (하얀 매)
첫 국제경기 출전VS 파일:우즈베키스탄 국기.svg 우즈베키스탄 (0:3 패), 파일:우즈베키스탄 국기.svg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(1992년 8월 23일)
최다 점수차 승리VS 파일:미얀마 국기.svg 미얀마 (7:0 승), 파일:키르기스스탄 국기.svg 키르기스스탄 비슈케크 (2019년 10월 10일)
VS 파일:미얀마 국기.svg 미얀마 (8:1 승), 파일:일본 국기.svg 일본 오사카 (2021년 6월 11일)
최다 점수차 패배VS 파일:이란 국기.svg 이란 (0:7 패), 파일:시리아 국기.svg 시리아 다마스쿠스 (1997년 6월 4일)
아시안컵진출 1회, 16강 1회 (2019)

유니폼 컬러어웨이
상의
빨강
하양
하의빨강하양
양말빨강하양




1. 개요[편집]


키르기스스탄축구 국가대표팀을 다루는 문서.

홈 경기장은 스파르탁 스타디움이며 감독은 슈테판 타르코비치이다.

1930년~1991년 대회는 소련의 일원이었다. 소련 시절 성적을 보려면 여기로.

주요 선수로는 해외 혼혈 선수를 선출하는데 대표적인 선수들로 발레리 키친비탈리 룩스가 있다.[5]

월드컵 본선은 진출한 적이 없고, 아시안컵은 2019년 AFC 아시안컵 24강 본선에 첫 진출했다. 24강 C조에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과 같이 편성되어 한국에게 0:1로 패배했는데, 이 경기가 한국과의 첫 A매치.[6] 연령별 대표팀의 경우 2018 자카르타 팔렘방 아시안 게임, 2023 항저우 아시안게임에서 만났는데, 여기서도 한국에게 0:1, 1:5로 패배했다.

첫 아시안컵에서는 중국과 한국에게 패하고 마지막 상대인 필리핀을 3:1로 이기면서 조 3위 간 경쟁을 통해 16강에 진출했다. 16강전에선 개최국 UAE를 상대로 2:3으로 아쉽게 패배했으나 경기 종료 직전에 동점골을 넣고 연장전에서도 훌륭한 경기력을 보여주어 첫 진출치고는 나쁘지 않은 성적(15위)을 거두고 대회를 마무리했다.

현재 유니폼 스폰서는 호마이다.


2. 역대 전적[편집]



2.1. FIFA 월드컵[편집]


연도결과순위경기승점득점실점
파일:우루과이 국기.svg
1930년 우루과이
독립 이전(소련 키르기스 SSR)
파일:이탈리아 왕국 국기.svg
1934년 이탈리아
파일:프랑스 국기.svg
1938년 프랑스
파일:브라질 국기.svg
1950년 브라질
파일:스위스 국기.svg
1954년 스위스
파일:스웨덴 국기.svg
1958년 스웨덴
파일:칠레 국기.svg
1962년 칠레
파일:잉글랜드 국기.svg
1966년 잉글랜드
파일:멕시코 국기.svg
1970년 멕시코
파일:독일 국기.svg
1974년 서독
파일:아르헨티나 국기.svg
1978년 아르헨티나
파일:스페인 국기.svg
1982년 스페인
파일:멕시코 국기.svg
1986년 멕시코
파일:이탈리아 국기.svg
1990년 이탈리아
파일:미국 국기.svg
1994년 미국
본선 진출 실패[24개국]
파일:프랑스 국기.svg
1998년 프랑스
본선 진출 실패[32개국]
파일:대한민국 국기.svg 파일:일본 국기.svg
2002년 한일
파일:독일 국기.svg
2006년 독일
파일: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.svg
2010년 남아공
파일:브라질 국기.svg
2014년 브라질
파일:러시아 국기.svg
2018년 러시아
파일:카타르 국기.svg
2022년 카타르
파일:캐나다 국기.svg 파일:미국 국기.svg 파일:멕시코 국기.svg
2026년 북중미
?????????
파일:스페인 국기.svg 파일:포르투갈 국기.svg 파일:모로코 국기.svg
2030년 월드컵
?????????
파일:사우디아라비아 국기.svg
2034년 사우디
?????????
합계본선진출 없음0/22[7]


2.2. AFC 아시안컵[편집]


대회결과순위경기득점실점승점
파일:홍콩 특별행정구기.svg
1956
독립 이전(소련 키르기스 SSR)
파일:대한민국 국기.svg
1960
파일:이스라엘 국기.svg
1964
파일:이란 국기.svg
1968
파일:태국 국기.svg
1972
파일:이란 국기.svg
1976
파일:쿠웨이트 국기.svg
1980
파일:싱가포르 국기.svg
1984
파일:카타르 국기.svg
1988
파일:일본 국기.svg
1992
파일:아랍에미리트 국기.svg
1996
본선 진출 실패[12개팀]
파일:레바논 국기.svg
2000
파일:중국 국기.svg
2004
본선 진출 실패[16개팀]
파일:인도네시아 국기.svg 파일:말레이시아 국기.svg 파일:태국 국기.svg 파일:베트남 국기.svg
2007
불참
파일:카타르 국기.svg
2011
본선 진출 실패[16개팀]
파일:호주 국기.svg
2015
파일:아랍에미리트 국기.svg
2019
16강15위3410367
파일:카타르 국기.svg
2023
?????????
파일:사우디아라비아 국기.svg
2027
?????????
합계16강(1회)2/8[8]3410367


2.3. 중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[편집]


대회결과순위경기득점실점승점
파일:우즈베키스탄 국기.svg 파일:키르기스스탄 국기.svg
우즈베키스탄&키르기스스탄 2023
4강4위3102463
합계우승(0회)1/13102463


2.4. 서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[편집]


대회결과순위경기득점실점승점
파일:요르단 국기.svg
요르단 2000
조별리그8위3003080
합계조별리그(1회)1/13003080


3. 연령별 대회[편집]



3.1. U-23 대표팀[편집]



3.1.1. AFC U-23 아시안컵[편집]


연도결과순위승점경기득점실점
파일:오만 국기.svg
오만 2014
예선 탈락
파일:카타르 국기.svg
카타르 2016
파일:중국 국기.svg
중국 2018
파일:태국 국기.svg
태국 2020
파일:우즈베키스탄 국기.svg
우즈베키스탄 2022
파일:카타르 국기.svg
카타르 2024
굵은 글씨는 올림픽 본선 진출권이 걸려있는 대회
합계본선진출 없음0/6[9]


3.2. U-20 대표팀[편집]



3.2.1. AFC U-20 아시안컵[편집]


연도결과순위승점경기득점실점
AFC youth 챔피언십 대회
파일:말레이시아 국기.svg
1959 말레이시아
독립 이전(소련 키르기스 SSR)
파일:말레이시아 국기.svg
1960 말레이시아
파일:태국 국기.svg
1961 태국
파일:태국 국기.svg
1962 태국
파일:말레이시아 국기.svg
1963 말레이시아
파일:베트남 공화국 국기.svg
1964 남베트남
파일:일본 국기.svg
1965 일본
파일:필리핀 국기.svg
1966 필리핀
파일:태국 국기.svg
1967 태국
파일:대한민국 국기.svg
1968 대한민국
파일:태국 국기.svg
1969 태국
파일:필리핀 국기.svg
1970 필리핀
파일:일본 국기.svg
1971 일본
파일:태국 국기.svg
1972 태국
파일:이란 국기.svg
1973 이란
파일:태국 국기.svg
1974 태국
파일:쿠웨이트 국기.svg
1975 쿠웨이트
파일:태국 국기.svg
1976 태국
파일:이란 국기.svg
1977 이란
파일:방글라데시 국기.svg
1978 방글라데시
파일:태국 국기.svg
1980 태국
파일:태국 국기.svg
1982 태국
파일:아랍에미리트 국기.svg
1985 UAE
파일:사우디아라비아 국기.svg
1986 사우디
파일:카타르 국기.svg
1988 카타르
파일:인도네시아 국기.svg
1990 인도네시아
파일:아랍에미리트 국기.svg
1992 UAE
불참
파일:인도네시아 국기.svg
1994 인도네시아
파일:대한민국 국기.svg
1996 대한민국
예선 탈락
파일:태국 국기.svg
1998 태국
파일:이란 국기.svg
2000 이란
파일:카타르 국기.svg
2002 카타르
파일:말레이시아 국기.svg
2004 말레이시아
파일:인도 국기.svg
2006 인도
조별리그12위2302118
AFC U-19 챔피언십 대회
파일:사우디아라비아 국기.svg
2008 사우디
기권
파일:중국 국기.svg
2010 중국
예선 탈락
파일:아랍에미리트 국기.svg
2012 UAE
불참
파일:미얀마 국기.svg
2014 미얀마
파일:바레인 국기.svg
2016 바레인
예선 탈락
파일:인도네시아 국기.svg
2018 인도네시아
AFC U-20 아시안컵
파일:우즈베키스탄 국기.svg
2023 우즈베키스탄
조별리그14위1301215
합계조별리그 (1회)2/41[10]36033213


3.3. U-17 대표팀[편집]




3.3.1. AFC U-17 아시안컵[편집]


연도결과순위승점경기득점실점
AFC U-16 Championship
파일:카타르 국기.svg
카타르 1985
독립 이전(소련 키르기스 SSR)
파일:카타르 국기.svg
카타르 1986
파일:태국 국기.svg
태국 1988
파일:아랍에미리트 국기.svg
아랍에미리트 1990
파일:사우디아라비아 국기.svg
사우디아라비아 1992
불참
파일:카타르 국기.svg
카타르 1994
예선 탈락
파일:태국 국기.svg
태국 1996
불참
파일:카타르 국기.svg
카타르 1998
파일:베트남 국기.svg
베트남 2000
예선 탈락
AFC U-17 Championship
파일:아랍에미리트 국기.svg
아랍에미리트 2002
예선 탈락
파일:일본 국기.svg
일본 2004
파일:싱가포르 국기.svg
싱가포르 2006
AFC U-16 Championship
파일:우즈베키스탄 국기.svg
우즈베키스탄 2008
기권
파일:우즈베키스탄 국기.svg
우즈베키스탄 2010
예선 탈락
파일:이란 국기.svg
이란 2012
파일:태국 국기.svg
태국 2014
기권
파일:인도 국기.svg
인도 2016
조별리그10위33102211
파일:말레이시아 국기.svg
말레이시아 2018
예선 탈락
AFC U-17 아시안컵
파일:태국 국기.svg
태국 2023
예선 탈락
합계조별리그 (1회)1/19[11]33102211

파일:CC-white.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-12-21 18:59:52에 나무위키 키르기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.


[1] 키르기스어[2] 러시아어[3] 2023년 10월 기준https://www.fifa.com/fifa-world-ranking/KGZ[4] 2023년 10월 19일 기준https://www.eloratings.net/[5] 비탈리 룩스와 빅토르 마이어 등은 스탈린 때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된 독일인 후손으로 추정된다. 카자스스탄과 이웃나라들에 백만에 가까운 독일인이 살고 있었으나 대부분 독일로 돌아갔고 룩스도 6살때 독일로 이주. 현 카자흐스탄 국가대표 알렉산더 메르켈도 독일계 러시아인으로 추정된다.[6]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과 상대 전적이 없던 얼마없는 국가 중 하나였다.[24개국]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.[32개국]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.[7] 월드컵 본선 진출 비율[12개팀]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.[16개팀] A B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.[8] 독립 이후[9] AfC U-23 아시안컵 본선 진출 비율[10] AFC U-20 아시안컵 본선 진출 비율[11] AFC U-17 아시안컵 본선 진출 비율